목록목록 (213)
녕의 학습 기록

for문은 주어진 횟수만큼 실행문을 반복 실행할 때 적합한 반복 제어문이다. for문의 구조는 다음과 같다. for (초기화식;조건식;증감식){ 실행문 } 제일 먼저 초기화식에서 변수를 선언하며 값을 대입해 초기화하고 조건식을 평가해, 실행문을 실행한다. 블록 내부의 실행문들을 모두 실행하면 증감식을 실행하여 변수를 1만큼 증감하고, 다시 조건식을 평가한다. 조건식이 true이면 실행문을 실행, false이면 실행하지 않고 반복을 끝낸다. for (int i=1 ; i

switch문은 if 문과는 다르게 변수가 어떤 값을 가지느냐에 따라 실행문이 선택된다. 만약 괄호 안의 값과 동일한 값을 가지는 case가 없으면, default로 가서 실행문을 실행시킨다.(생략가능) import java.util.random(); public class switchExampl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num = (int) (Math.random()*6) + 1; //난수 발생 random() switch (num){ case 1: System.out.println("1번") break; case 2: System.out.println("2번") break; case 3: System.out.println("3번") break;..

if 문은 조건식의 결과에 따라 해당 블록의 실행 여부가 결정된다. 조건식에는 true 또는 false 값을 산출할 수 있는 연산식이나, boolean 변수가 온다. 조건식이 true 면 블록을 실행하고, false이면 실행하지 않는다. if (조건식){//python과는 다르게 조건식에 괄호 ()를 입혀줘야한다. 실행문; 실행문; ... } 중괄호 { } 블록은 실행문이 한줄일 경우 생략 가능하지만, 가독성과 버그 발생 방지를 위해 쓰는 것을 권장한다. public class IfExample{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int score = 93; if (score>=90){ System.out.println("점수가 90보다 큽니다"); } } } 위 예..

타입변환에는 두가지 종류가 있다. 묵시적(자동) 타입변환, 그리고 명시적(강제) 타입 변환이다. 자동 타입 변환 자동 타입 변환은 메모리의 크기가 작은 타입이 큰 크기의 타입에 저장될 때 발생한다. 먼저 크기별로 정수 및 실수 타입을 정리하자면 다음과 같다. byte(1) < short(2) < int(4) < long(8) < float(4) < double(8) * float는 4 바이트 이지만 long과 int보다 표현할 수 있는 범위가 크다. 자동 타입 변환이 발생되면 전과 후의 값은 동일하다. int intValue = 200; double doubleValue = intValue; intvalue는 정수 200이지만, doubleValue에 저장되면 200.0으로 저장된다. char charV..

상수 상수는 프로그램이 실행되는 동안, 값이 변하지 않는 수이다. 상수는 final 이라는 키워드를 통해 사용할 수 있다. final double PI = 3.141592 // final 키워드가 있으므로 상수. 타입은 double 실수 , 이름은 PI 만약 상수로 지정해둔 값을 변경하고자 한다면 에러가 발생한다. final int num1 = 920 //상수, x의 타입은 정수. 값은 920으로 변경이 불가하다 x = 9 // 상수의 값을 변경하고자 함 에러발생. var var키워드를 사용하면 변수의 타입을 지정하지 않아도 자동으로 추론 가능하다. var age=22;//자동으로 age의 타입을 int로 추론한다. var name="Kim"; //자동으로 name의 타입을 String으로 추론한다.

정수형 정수형으로는 byte, short, int, long이 있으며 크기로 각가 구분한다. byte 1바이트 short 2바이트 int 4바이트 long 8바이트 실수형 실수형으로는 float 와 double이 있다. 마찬가지로 크기로 구분할 수 있다. float 4바이트 double 8바이트 float var1= 0.5f; //소수점 선언 뒤에 f를 꼭 붙여주어야 한다 ! double var2=0.0005; //소수점 선언 논리형 논리형(boolean type)은 참과 거짓을 나타내며 조건문에서 많이 사용된다. 논리형은 ture와 false만 가질 수 있다. boolean falg = true; //변수명 flag, 타입 논리형, 값 true boolean x = 1 > 2;//변수명 x , 타입 논..

Java의 자료형은 기초형과 참조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기초형과 참조형은 값을 저장하는 방식에서 차이를 가진다. 기초형 실제 값을 저장 정수형 / 실수형 / 논리형 / 문자형(char) 참조형 실제 객체를 가리키는 주소를 저장 클래스, 인터페이스, 배열 변수 선언 변수를 사용하기 위해 변수 선언을 해주어야 한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public class data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nt num1, num2; //변수 선언 (변수의 자료형 + 변수명) num1=3 //변수에 값 대입 num2=5 } } int를 예시로 든것이지 , 꼭 int여야만 하는 건 아니다. 만약 변수를 선언하지 않고 값을 대입한다면 다음과 같이 에러가 나온다. publ..

메소드 메소드는 특정한 작업을 하는 코드의 묶음으로, 클래스 안에 정의된 함수라고도 할 수 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앞서 보았던 main도 메소드의 이름이다. public (누구나 호출 가능) static (정적 메소드) void(결과값을 반환하지 않음) main(메소드 이름) String[] args(외부에서 주어지는 데이터를 받는 매개변수) 일반적으로 하나의 소스 파일은 하나의 클래스를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하나의 클래스 안에는 여러개의 메소드가 포함될 수 있으며, 하나의 메소드 안에는 여러 문장이 포함될 수 있다. 식별자 식별자의 이름을 지을 때는 다음과 같은 규칙을 적용한다. 알파벳, 숫자, _ 로 이루어진다.(한글도 사용가능하지만 되도..

주석은 소스 코드가 하는 일을 설명하는 설명 글로서, 프로그램의 실행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Java의 주석으로는 /* */와 / / 두가지 방식이 있다. /* */는 줄에 상관없이 사이에 해당하는 부분을 주석처리한다. /*여기서부터 여기까지 주석처리*/ / / 는 / /를 입력한 뒤로 그 줄에 대해서만 주석처리를 해준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여기서부터 한 줄 주석처리 } 개발자로 있으면서 주어진 코드를 영원히 나만 유지보수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른 사람도 보기 쉽고, 이해할 수 있게 주석으로 설명을 달아주는 것이 좋다. java 공부를 하면서는 나 혼자 작성하고 볼 것이긴 하..

Hello 라는 class를 생성해서 다음과 같이 소스파일이 만들어졌다.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 } main함수 관련 체크박스를 체크 했기 때문에 위처럼 main함수가 구현되어서 나온다. 이를 실행할 때(Run) 이 main함수를 실행해라. 라는 의미의 진짜 메인으로 실행되는 함수. Java에서의 출력 System.out.println(); public class Hello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Hello World"); } } 작업 프로젝트를 실행하면 main함수가 실행되고 그때 괄호 안의 내용을 출력해준다. printl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