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의 학습 기록

[Week 0] 윈도우 리눅스 셋업 본문

대외활동/멋쟁이사자처럼 11기

[Week 0] 윈도우 리눅스 셋업

kjyyjk 2023. 2. 19. 23:57

 학습 내용 

리눅스 환경 설정 / 커스터마이징 / 간단 리눅스 명령어


 

* Chocolatey

 

기존에는 윈도우에 무언가를 설치하기 위해서 찾아 들어가 다운받고~~ 설치하고~~ 마우스 딸깍딸각 해야했지만.

chocolatey를 설치해 powershell 내에서 코드를 입력해 윈도우 상에 편리하게 다운받을 수 있었다.

즉 윈도우에 설치하는 것을 편리하게 도와준다.

리눅스에서 설치하는 것과 비슷한 느낌 !!

 

* WSL2(ubuntu)

 

WSL이란 Window Subsysetem for Linux 으로, 윈도우에서 Linux 개발 환경을 이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WSL을 통해 리눅스 계열 OS인 우분투를 설치해주었다.

 

* 터미널 커스터마이징

 

powerlevel10k , terminal splash , oh my zsh를 통해 터미널을 보기 좋게 커스터마이징 해주었다.

 

터미널 설정에서 좌측 하단의 'Json 파일 열기'
Json 파일. 터미널을 자유롭게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
커스터마이징한 터미널. 보기 좋다
vsc 상 터미널도 적용

 

* 리눅스 명령어

 

간단히 기록만. 필요한 명령어는 그때 그때 찾아보자!

 

$cd Desktop

cd (change directory) : 내가 위치한 디렉토리 변경

cd만 작성한 상태에서 tab을 눌러보면 이동할 수 있는 경로를 볼 수 있다.

 

$ls

ls (list) : 현재 위치한 directory에 어떤 파일이 있는 지 목록을 보여준다.

 

$clear

clear : 터미널 기록을 지우고 빈 터미널로 새로 보여준다.

 

$touch 경로 (파일명.확장자 포함)

 

해당 경로에 파일을 만든다.

 

touch 명령어를 사용해 music.txt 를 만들어보았다.

현재 경로 외 다른 경로에 만들고 싶으면 / 를 이용해 경로 지정후 생성.

 

 

$code 경로 (파일명.확장자 포함)

VSCode가 실행되면서 해당 경로가 열린다.

 

$mkdir 경로(디렉토리명 포함)

mkdir (make directory) : 경로에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파일 삭제
$rm 경로 (파일명.확장자 포함)

//디렉토리 삭제(안에 파일 없어야한다)
$rm -rf 경로 (디렉토리명 포함)

 


 

우분투에서 뭔가를 설치하는 것은 매우 쉽다!!

 

패키지 인스톨러인 apt-get 을 통해 뭔가를 설치한다.

 

$sudo

리눅스 상에는 항상 두 분류의 유저가 있다. root 와 내가 사용하는 유저.

root는 admin 권한을 의미한다. 즉 절대권한을 지님!

현재 쉘을 사용하는 유저는 root가 아닌 나이기 때문에(whoami 명령어를 통해 현재 유저가 누군지 확인 가능하다)

root의 admin 권한이 필요할 때는 sudo 명령어를 통해 admin 권한을 가져와 작업한다.

 

//설치이름을 설치
$sudo apt-get install '설치이름'

//패키지들을 업그레이드
$sudo apt-get upgrade

$sudo apt-get update

apt-get update는 apt-get이 찾아볼 수 있는 프로그램의 데이터베이스(DB)를 업데이트하도록 하는 것이다.

즉 어떤 것을 업그레이드, 설치할 수 있는 지 apt-get이 인지하게 하는 것.

update를 하고 난 후 apt-get이 찾아서 install 이나 upgrade 가능

 

위처럼 apt-get은 DB에서 원하는 것을 찾는다.

만약 apt-get이 찾는 것이 DB에 없을 때는 ..?

외부 누군가의 DB (PRA - 타인의 개인 패키지 저장소)를 추가할 수 있다!

추가하고 update를 통해 apt-get이 인지하면 설치나 업글 가능.

 


참고 자료

 

개발자를 위한 윈도우 셋업 –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

WSL2, Windows Terminal, Ubuntu

nomadcoders.co

 

'대외활동 > 멋쟁이사자처럼 11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Week2]  (0) 2023.03.29
Shell 과제 가이드  (0) 2023.03.14
VSC 에서 마크다운 작성하기  (0) 2023.03.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