녕의 학습 기록

[Spring MVC 1] 서블릿 (4) 본문

Dev/Spring

[Spring MVC 1] 서블릿 (4)

kjyyjk 2023. 1. 15. 22:34

 학습 내용 

HTTP 응답( HTTP Response) 사용


* HttpServletResponse

 

다음 메서드들을 이용해 Response 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setStatus로 HTTP 응답의 상태 코드를 설정!

 

숫자로 (200, 300 ..) 설정 가능하지만 아래처럼 표시하는 것이 좋다. 

response.setStatus(HttpServletResponse.SC_OK); //괄호 안은 200을 의미

 

setHeader로 response에 헤더 정보 설정!!

 

/response-header url 호출 시에 hello-form.html로 리다이렉트 되게끔

 

HTTP 응답에서는 주로 다음 세가지 데이터를 전달.

 

1. 단순 텍스트

2. HTML

3. HTTP API - Json

 

 

* HTTP 응답 데이터 - 단순 텍스트

 

단순 텍스트를 전달할 때에는 아래처럼 간단하게 전달 가능하다!

 

빈칸 안에 전달할 텍스트

* HTTP 응답 데이터 - HTML

 

전달하는 데이터가 HTML일 때에는 Content-Type : text / html

(웬만하면 Content-Type을 별도로 설정해주는 것이 좋다)

 

단순 텍스트 전달 때와 마찬가지로

response.getWriter().println();

을 이용.

 

다만 괄호 안에 넣고자 하는 HTML 태그를 넣어주었다.

 

 

페이지 소스 보기 - HTML 태그가 있는 것을 확인!!

 

웹브라우저가 제대로 렌더링을 하였다.

 

 

* HTTP 응답 데이터 - Json

 

response에서도 마찬가지로 주로 json을 전달한다.

 

Content - Type : application / json

 

역시나 Jackson 라이브러리의 ObjectMapper 를 이용!

 

objectMapper.writeValueAsString("json객체");

 

 

writeValueAsString 메서드는 객체를 JSON 문자로 변경해준다.

 

hellodata 객체 ---> {"username":"kim", "age": 24}

 

문자 형태의 json을 write()

 

결과 확인
Response Header 정보

 


 다음 학습 내용 

서블릿, JSP, MVC 패턴

 

 

스프링 MVC 1편 - 백엔드 웹 개발 핵심 기술 - 인프런 | 강의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필요한 모든 웹 기술을 기초부터 이해하고, 완성할 수 있습니다. 스프링 MVC의 핵심 원리와 구조를 이해하고, 더 깊이있는 백엔드 개발자로 성장할 수 있습니다., -

www.inflearn.com

 

'Dev > Spring' 카테고리의 다른 글

[Spring MVC 1] 서블릿/JSP/MVC (2)  (0) 2023.01.24
[Spring MVC 1] 서블릿/JSP/MVC (1)  (1) 2023.01.22
[Spring MVC 1] 서블릿 (3)  (0) 2023.01.14
[Spring MVC 1] 서블릿 (2)  (0) 2023.01.13
[Spring MVC 1] 서블릿 (1)  (0) 2023.01.11